혈관 70% 막혀도 전혀 모른다...뇌졸중·심근경색
컨텐츠 정보
- 15,865 조회
- 0 추천
- 목록
본문
겨울철 혈관 질환 주의보
![]()
요즘처럼 날이 급격히 추워지면 몸에서는 혈관부터 수축시킨다. 열 손실을 막아 체온을 최대한 유지하기 위해서다. 하지만 혈관이 좁아지면 혈압이 오르는 데다 혈액 점성도까지 높아지면서 혈전이 생기기 쉬워진다. 심장·뇌로 가는 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히고 터지는 뇌졸중·심근경색 등 심뇌혈관 질환은 심각한 합병증을 데려오거나 사망까지 초래할 수 있어 ‘시한폭탄’으로 불린다. 문제는 혈관의 70%가 막힐 때까지 별다른 증상이 없다는 것이다. 겨울철 심뇌혈관을 지키기 위해 생활습관을 점검해 보자.
비권장
길거나 짧은 수면시간
![]()
9시간 이상) 자는 사람, 적게(5시간 이하) 자는 사람이 심혈관 질환 고위험 그룹(10년 내 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이 7.5% 이상)에 속할 가능성은 적당히(6∼8시간) 자는 사람보다 각각 1.5배, 1.17배 더 높았다. 특히 수면장애 질환인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이 있다면 심혈관 질환 발생으로 인한 사망률은 자연적으로 심혈관 질환이 발생하는 경우보다 6배나 높다. 강동경희대병원 신경과 신원철 교수는 “수면무호흡증 환자는 상기도의 반복적인 폐쇄로 저산소증이 유발돼 수면 중 교감신경이 항진돼 혈압이 오른다”며 “혈액응고인자도 항진돼 혈전이 잘 만들어지면서 심뇌혈관 질환 발생 위험을 높인다”고 설명했다. 성인의 권장 수면시간은 7~9시간이다. 잠자기 30분 전에는 불을 끄고 스마트폰을 멀리해야 한다. 수면무호흡증이 의심되거나 수면의 질이 크게 떨어졌다면 수면다원검사로 수면 상태를 평가해 원인에 따라 치료해야 한다.
오래 앉아 있기
![]()
좌식 시간이 길수록 다리 정맥에서 상체로 피를 올려보내는 기능이 떨어져 혈액순환을 방해한다. 이로 인해 혈전이 잘 생성돼 심장·뇌로 가는 혈관을 막을 위험을 높인다. 50분 앉아 있었다면 10분간 휴식을 취하며 스트레칭, 까치발로 서고 내리기 등 동작을 취해야 한다. 4시간 이상 앉아 있는 사람이 그중 30분을 운동으로 대체하면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이 2% 줄어든다는 연구결과도 있다.
탄산음료에 기름진 음식 즐기기
![]()
권장
체온 유지하기
![]()
근력 운동 하기
![]()
담배 완전히 끊기
![]()
![]()







